1980년 5월 18일에서 27일까지 전라남도 및 광주 시민들이 계엄령 철폐와 전두환(全斗煥) 퇴진, 김대중(金大中) 석방 등을 요구하여 벌인 민주화운동.

 

 박정희 대통령김재규()에 의해 시해됨으로써(79. 10. 26) 대통령 대행체제가 되고 한 동안 정국이 불안정하였다.

이러한 시기를 틈타 신군부세력(전두환, 노태우 등)이 제2군사 쿠데타를 일으켜(12·12 사태), 순식간에 무력으로 군부를 장악하고 정치권을 장악하였다.

또 다시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사통치 시대로 회귀하였다. 유신체제에 이어 민주헌정이 정지되고, 민주정치 지도자 투옥 등 군사독재가 재발하자 국민들의 불만은 극도에 달하여, 국민의 저항은 전국적으로 지속 확산되어 갔다.

그 동안 불만이 쌓인 전국의 학생 연대는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에 모여 대규모 민주항쟁 시위를 벌였다. 신군부는 이를 기회로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전라남도 광주시에서도 역시 비상계엄군이 각 대학을 장악하고 학생들의 등교를 저지하였다.

이에 울분한 전남대학교 학생과 비상계엄군간에 충돌이 일어났다.

계엄군에게 구타를 당한 학생이 속출하자, '계엄철폐' '휴교령철폐'를 외치며 중심 대로인 금남로로 진출하였다(80. 5. 18).
 
계엄군과 공수부대원들은 시위 학생들을 향하여 총격을 가하여 죽는 학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학생들은 민가나 관공서로 피신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을 추격하던 군인들은 드디어 민간인까지 닥치는 대로 체포하고 학살하기 시작하였다.

주민들은 피하는 학생들을 감추어주고 식량을 공급하였다.

그러다가 민간인 부녀자도 사살당하기도 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광주시 외곽으로 피신하기도 하였으나, 군대는 탱크까지 동원하여 모든 도로를 차단하고 지키고 있어서 피신과정에서 체포 또는 사살당하였다.
 
이에 성난 학생들과 시민들은 합세하여 저항이 더욱 거세졌고, 일부 학생들은 도청()을 점거하고, 경찰서 등에서 총기를 탈취하여 저항하였다.

시민군과 계엄군의 시가전이 벌어졌다. 그러나 정규군에 저항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5.18 수습대책위원회’가 종교인, 교수 등이 주축이 되어 구성되었고, 시민군에게 총기를 반납할 것을 종용하여 무장을 해제하였다.

그러나 계엄군의 무자비한 학살은 계속되었다. 무고한 어린 학생, 부녀자, 시민까지 무차별 살상이 이어졌다.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했기 때문에 이러한 비극의 현장은 외부에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광주 시내를 탈출한 일부 사람들에 의해 그 비극의 사실이 전해졌다.

 처음에는 유언비어()처럼 전해지면서, 북한 무장 간첩이 침투하여 저지른 만행이라고 소문나기도 했으나 드디어 3일째 되는 날부터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하면서 그 잔혹상이 만천하에 알려졌다.

드디어 10일째 되는 5월 27일 대규모 진압군이 투입되어 도청을 탈환함으로써 수많은 시체가 쌓인 가운데 시위는 진압되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728x90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인의 날...  (0) 2011.05.20
발명의 날...  (0) 2011.05.19
대부업 이용자 200만명...  (0) 2011.05.17
태정관 지령문...  (0) 2011.05.16
다시 뽑고 싶은 대통령 1위는?  (0) 2011.05.13

 

 

역대 전·현직 대통령 가운데 ‘다시 뽑고 싶은 대통령’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1위를 차지했다. 12일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소장 백원우 의원)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9~10일 무작위 자동응답방식(RDD)으로 99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박정희 전 대통령이 다시 대선에 출마했을 경우 과반수가 넘는 57.5%의 응답자가 "다시 뽑겠다"고 답했다.

똑같은 질문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47.4%로 2위, 김대중 전 대통령이 39.3%로 3위를 차지했다.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선 "다시 뽑겠다"는 의견이 16.1%, "다시 뽑지 않겠다"는 의견이 72.2%를 기록해 주요 비교대상 가운데 가장 다시 뽑고 싶지 않은 대통령으로 꼽혔다.

이 대통령은 다시 뽑겠다는 의견이 22.0%에 달한 전두환 전 대통령보다도 지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대통령보다 다시 뽑겠다는 의견이 낮은 대통령은 이승만(14.2%), 김영삼(7.9%), 노태우(3.1%)뿐이었다.

전·현직 대통령 중 가장 호감가는 인물을 선택하는 단순 호감도 조사에서도 박정희 전 대통령이 31.9%, 노무현 전 대통령이 30.3%, 김대중 전 대통령 19.8%, 이명박 대통령 7.6%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라고 연구소 측은 밝혔다.[출처:경향신문]

728x90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부업 이용자 200만명...  (0) 2011.05.17
태정관 지령문...  (0) 2011.05.16
작업대출을 조심하세요...  (0) 2011.05.11
어린이날  (0) 2011.05.06
어버이날  (0) 2011.05.06

+ Recent posts